1인당 쌀 소비량이 역대 최저로 떨어졌어요.

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55.8kg으로 전년 대비 1.1%(0.6kg) 감소했어요. 반면 가공식품 원재료로 쓰이는 양은 크게 늘었는데요. 정부는 쌀 과잉생산을 막겠다며 쌀 재배면적을 줄이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어요.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할게요.

1인당 연간 쌀 소비량, 40년째 감소하는 추세예요.

특히 우리 경제가 성장 가도를 달리던 1990년대 들어 쌀 소비량이 빠르게 감소하기 시작했어요. 1998년 처음 100kg 아래로 떨어졌고, 2019년부터 50kg대에 머물고 있어요.

1인당 하루 쌀 소비량으로 보면 지난해 152.9g으로 전년 대비 1.1%(1.7g) 감소했어요. 즉석밥의 일반적인 용량이 200~210g 정도이니, 우리나라 사람들이 보통 하루에 밥 한 공기 정도만 먹는다고 볼 수 있어요.

가공식품 원재료로 쓰이는 양은 늘었어요.

각종ㅇ 가공식품 원재료로 사업체 부문에서 연간 소비하는 쌀의 양은 지난해 87만3,000여톤으로 전년(81톤7,122톤)보다 6.9% 증가했어요. 2020년부터 3년 연속 60만톤대를 기록하다 2023년 80만톤대로 뛰어올라 2년 연속 80만톤대를 이어간 거예요.

주정 제조업에서 즉 술 빚는 데 23만톤 가까이 소비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요. 떡류 만드는 데 약 20만톤이 사용됐어요. 식사용 가공 처리 조리식품 만드는 데도 16만톤 넘게 소비됐는데요. 전년대비 25.0%나 소비량이 뛰어 증가율이 가장 컸어요.

한국인들 쌀 소비가 줄었는데, 가공식품 원재료로 쌀 소비량이 늘었다는 게 언뜻 이상한데요. 해외에서 K푸드 인기가 높아지자 쌀 가공식품 판매가 늘었고, 이로 인해 가루와 달리 사업체에서 쌀 소비량이 늘어났어요.

정부는 쌀 재배면적을 줄이려 해요.

지난해 12월 벼 재배면적 조정제 추진계획을 발표했어요. 각 시도별 쌀 생산량 비중에 따라 감축 면적을 배분하면, 각 지자체에서는 다른 작물로 전환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생산량을 감축해야 해요.

이 계획에 따르면,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 농가에는 정부가 매년 사들이는 공공비축미*를 우선 배정해줘요. 다른 작물로 재배를 전환하면 보조금인 직불금을 1ha당 최대 430만원 지급하고,반대로 달성하지 못한 농가에는 공공비축미 배정을 제외하거나 직불금을 삭감하는 등 불이익이 있어요.

*공공비축미는 비상시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가 비축해놓는 쌀이에요.

감축 목표는 8만ha로 여의도(290ha)의 276배에 달하는 면적이에요. 올해 전체 지배면적(69만8,000ha)과 비교하면 당장 내년에 8.7%를 줄여야 해요.

농가의 반발이 커요.

농가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탁상공론식 방안이라는 거예요. 불과 한 달 전에 이 계획이 나왔고, 당장 2월 중 농가에 재배면적 조정 통지서가 발송될 예정이에요.

그런데 이미 올해 농사는 어느 정도 준비가 된 상황이에요. 다른 작물로 전환하는 것도 작물에 맞게 논을 개량하고, 재배 교육도 받아야 해 시간과 비용이 들고요.